공지사항


 

답답한 내 퇴직연금 수익률 고수들이 찜한 채우기 ETF 아시나요

라이더 0 2
퇴직연금에만 있는 안전자산 30 룰 자산 섞은 신상품 활용하면 수익률 업 퇴직연금 계좌가 위험자산 투자한도를 초과했습니다 최근 글로벌 주식시장이 강세를 보이면서 증권사에서 이런 안내를 받는 가입자가 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 계좌에만 적용되는 안전자산 30 룰 때문입니다

퇴직연금 계좌는 예금 채권처럼 원금이 보장되는 상품을 안전자산 주식형 펀드 ETF 리츠처럼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는 상품을 위험자산 으로 분류합니다 정부는 안전자산 비중을 전체 적립금의 30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위험자산은 최대 70 까지만 투자할 수 있는 셈입니다 노후 자산은 수익률만큼 안정성 확보도 중요하다 는 취지다 고수들은 채우기 ETF 로 수익률 올린다그렇다고 해도 요즘 같은 저금리 고물가 시대에 연 23 대 예금이나 채권에만 자금을 묶어 두자니 수익률이 아쉽다

이런 투자자를 겨냥해 나온 틈새 상품이 바로 채우기 ETF 다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을 함께 담은 혼합형 상품으로 안전자산 30 룰 을 지키면서도 투자 효율을 높이고 플러스 알파 수익을 노릴 수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과연 내게 꼭 맞는 채우기 ETF 는 무엇일까 기자도 퇴직연금 운용 과정에서 필요성을 절감하고 직접 취재했습니다

주요 자산운용사에 문의해 채우기 ETF 신상품을 추천받고 세부 조건과 수익 구조를 꼼꼼히 비교 분석했습니다 10년간 연평균 19 오른 美 증시에 베팅올해 새로 나온 채우기 ETF 는 미국 대표 지수에 연동되는 상품이 많다 성장성이 높은 미국 증시에 투자하면서 안정적인 채권으로 하방을 막는 창과 방패 전략을 취하는 것입니다 다만 운용사별로 지수형 종목형 미국채 한국채 구성 등 상품 특색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나스닥에 투자하는 채우기 ETF 는 올해 4종이 새로 나왔습니다

1세대 상품과 비교하면 위험자산 비중이 50 까지 높아졌다는 게 특징입니다 전체 자금의 70 를 나스닥 ETF에 넣고 나머지 30 를 나스닥 채우기 ETF로 운용하면 실질적으로는 전체의 약 85 가 나스닥에 투자된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의 KoAct 미국나스닥채권혼합50액티브 는 미국 나스닥 25개 종목과 국내 단기 채권을 절반씩 섞은 액티브 펀드다

엔비디아 팔란티어 브로드컴 블룸에너지 등 소수 종목에 압축 투자합니다 마전 양우 내안애 퍼스트힐 나스닥100처럼 지수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유망주를 골라 담기 때문에 운용역 판단이 시장과 어긋나면 수익률이 기대에 못 미칠 수 있습니다

하나자산운용의 1Q 미국 나스닥100 미국채혼합50액티브 는 나스닥100 지수와 미국 단기채 에 각각 50 씩 투자합니다 후발 주자여서 인지도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보수를 0 신독산 솔리힐 뉴포레 05 로 낮춘 점이 특징입니다 앞서 6월 출시된 1Q 미국 S P500 미국채혼합50액티브 역시 보수가 0

15 로 비용 효율 면에서 경쟁력이 높다 한화자산운용의 PLUS 미국나스닥100 미국채혼합50 은 나스닥100과 미국 단기채를 각각 50 씩 섞은 분산형 상품입니다 위험 자산으로는 나스닥100 ETF인 QQQM을 비롯 엔비디아 애플 등을 편입했습니다 환 오픈형이라 달러 투자 효과가 있습니다 앞서 6월 출시한 PLUS 미국S P500미국채혼합50 도 같은 전략을 쓴다

미국 현지 S P500 ETF인 VOO SPLG IVV 등을 골고루 담았습니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의 TIMEFOLIO 미국나스닥100채권혼합50액티브 는 알파벳 메타 테슬라 등 글로벌 테크 대표주와 국내 단기채 를 섞은 상품입니다 액티브 맛집 펀드매니저가 적극 매매하는데 6개월 수익률이 25 를 기록하며 입소문이 났습니다

출시 7개월 만에 1100억원을 넘어섰습니다 신한자산운용의 SOL 미국S P500 미국채혼합50 은 미국 대표 지수 S P500과 10년물 미국채를 반반 섞었습니다 다른 상품과 달리 장기채여서 금리 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분배금을 매달 지급하는 월 배당 상품으로 9월 36원 10월 16원이 입금됐습니다 SOL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도 월 배당형 상품으로 미국 배당주 100개 종목과 미국 10년물 국채에 각각 절반씩 투자합니다

1세대 채우기 ETF인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액티브 는 지난달 위험자산 편입 비율을 종전 30 에서 50 로 높이고 상품명도 바꿨다 ACE 미국나스닥100 ETF와 QQQ 엔비디아 등에 절반 그리고 나머지는 미국 단기채에 투자합니다 현재 3000억원 넘는 자금이 모여 있습니다

TDF로 위험 자산 비율 94 까지 높이는 법은퇴 시점에 맞춰 자산 비율을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타깃데이트펀드 는 현재 퇴직연금에선 안전 자산으로 분류됩니다 TDF를 활용하면 퇴직연금 계좌 내 위험 자산 비율을 최대 94 까지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TDF2060액티브 는 글로벌 주식 80 국내 채권 20 로 구성돼 있습니다 이를 안전자산 30 몫으로 전액 편입할 경우 계좌 전체의 위험 자산 비율은 94 까지 늘어난다 은퇴 시점 이 가까워질수록 주식 비율이 줄어들며 투자 기간이 10년 이상 남은 자산 축적기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총 부담 수수료는 0 37 은퇴가 임박했다면 채권 비율이 높은 KODEX TDF2030액티브 가 더 안정적입니다 참고로 정부가 TDF 가운데 ETF 형태 상품은 퇴직연금 안전자산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어서 향후 제도 변화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버핏이 고른 안전자산 나도 담아볼까복잡한 투자 판단 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고 싶다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이 4월 출시한 TIGER 미국초단기 국채 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세계적 투자자 워런 버핏이 직접 매수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 ETF SGOV 의 국내 버전입니다 SGOV는 블랙록이 운용하는 아이셰어즈 03개월 미국 국채 ETF 로 TIGER 상품은 이를 벤치마크로 삼는다 매달 3035원의 분배금이 지급되며 안정성이 높다 다만 환헤지를 하지 않기 때문에 원화가 달러 대비 약세일 경우 원화 기준 수익률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초안정형 투자자를 위한 배당채권 조합올해 나온 채우기 ETF 는 아니지만 한화자산운용의 PLUS 고배당주채권혼합 은 국내 최대 배당주 ETF인 PLUS 고배당주 의 자매격 상품입니다

한국 채권과 한국 고배당주에 6대4 비율로 투자하는데 주가 상승 효과로 최근 1년 총수익률 은 15 에 달했습니다 국내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니까 환율 변동에 신경 쓸 필요가 없으며 채권 만기는 3년 미만으로 짧아 변동성이 낮아 보수적인 은행 고객들이 많이 찾는다 팔란티어 종목으로 월 2 현금 보너스 신한자산운용이 지난 4월 출시한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 은 벌써 운용 규모가 1700억원을 돌파했습니다 현재 주가는 약 1만250원 수준으로 5월부터 매달 210240원 의 분배금을 지급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국내 단기 채권에 70 를 투자하고 나머지는 팔란티어 주식을 기초 자산으로 보유하면서 현재가보다 높은 행사가격 을 매도하는 외가격 커버드 콜 전략을 활용해 추가 수익을 노립니다

꾸준한 현금 흐름 확보가 장점이지만 팔란티어 주가가 하락할 경우 평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합니다 증권사 안내 문자 받았을 때 해야 할 일 그런데 퇴직연금 위험자산 비중이 70 를 초과했다 는 알림톡이나 문자를 받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당장 수익이 난 상품을 팔아서 위험자산 비율을 낮추는 등 조치를 취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위험자산 비율을 70 아래로 조정하지 않으면 새 상품에 추가로 투자할 수 없다는 점은 알아두자
0 Comments
Category
 
 
 
070.8886.4830
Fax. 0504-320-4897
Email. wsm9002@nate.com
월-금 : 08:00 ~ 23:00,토/일/공휴일 정상근무
연중무휴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